반응형

동기 : func() => 모든 함수가 응답을 받을때까지 넘어가지 않음, 절차

 

비동기 : 함수가 호출만되면, 실행하는 거. 부분, 비절차

 

예를들어, 홈페이지에 글 과 함께 붙어있는 더보기? 등을 클릭할때, 동기식은 홈페이지 전체가 새로고침 되고,

비동기는 딱 그 특정하게 호출받은 함수만 실행되는 느낌.

 

 

- 저장하는 개념 -

쿠키 : 클라이언트 쪽에 파일로 저장

 

세션 : 서버에 저장, db아님,  특정 시간 이후 지워버림 (막 다른사이트 갔다오면 로그인이 풀려있는 경우도 있음 세션과 관련)

 

 

 

TCP : 정확한 정보전달을 목적으로 함, DNS에서 IP를 알려줌(정확한 목적지), 데이터를 전달 -> TCP

이 아이피를 찾아가는 과정을 ROUTING이라고 함 with 라우터.

 

NAT(네트워크 주소 변환) : private IP를 가지고는 다른 곳과 통신을 못해서 할수 있는 방법이 필요해서. private IP -> public IP로 바꿔줌. 

 

압축 : 무손실 압축 -> zip , 손실 압출 -> 영상 등

 

ipconfig : 할당받은 ip 검색

ping : ping + ip주소

tracent : url을 주면 라우팅 정보를 줌 (서버에 접속이 안될 시, 문제 파악을 위해 씀.)

nslookup : 도메인에 해당하는 IP를 응답해줌 

 

 

어느 유투버분의 컴퓨터 구조 & 운영체제에의한 pdf를 올려주심

brainwave.tistory.com/895

 

컴퓨터 구조 & 운영체제 도서 PDF

안녕하세요. 꽤 오래전에 정리했던 내용인데요. 오픈을 합니다. 필요하신 분들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. 다만 두가지만 양해를 바랍니다. 첫째는 10년전쯤 쓴 책이라서 내용 상으로 업데이트가

brainwave.tistory.com

 

반응형

'개발공부 > 자료구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자바 Queue(큐란?)  (0) 2020.12.19
제네릭이란?(자바 <> 이게 뭔가요?)  (0) 2020.12.15
인터페이스란?  (0) 2020.12.15
Collections framework(list, set, map)  (0) 2020.12.11
Doubly linked list(양방향 연결 리스트)  (0) 2020.12.09

+ Recent posts